본문 바로가기
LOGO

대구 광역시와 지자체들의 CI 모음

by apolong 2022. 10. 20.

대구 광역시 지방자치단체 CI 모음

 대구 광역시와 지자체들의 CI는 산을 형상화한 곳들이 많았습니다. 이니셜을 활용한 곳은 많지 않아 보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대구 광역시 뿐만 아니라 다른 광역시들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자연환경을 표현

대구 광역시의 CI는 녹색과 세개의 산을 표현한 것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삼각형과 타원을 기본도형으로 해서 대구를 에워싸고 있는 ‘팔공산과 낙동강’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였다고 합니다. CI에서 알 수 있듯이 대구가 가장 자랑하는 자연환경이 팔공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구시 이외에 동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 수성구 의 CI가 산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동구의 CI도 마찬가지로 팔공산을 표현하고 있으며, 파란색으로 금호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빨간색원은 팔공산의 일출을 표현하고 전체적으로 인간이 달려가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고 합니다. 북구의 CI는 구체적인 산의 이름은 알리지 않았지만 산과 하늘을 표현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앙에 경계부분은 북구의 구조인 수리부엉이의 비상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달성군의 CI도 마찬가지로 산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눈에 띄는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산의 형상을 녹색으로 표현하여 산의 모양이 먼저 눈에 들어오게 형상화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달성군의 경우 메인컬러는 녹색이지만 산을 표현하는 부분은 흰색으로 표현했다는 것입니다. 로고의 의미는 ‘비슬산과 낙동강’을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녹색으로 표현된 형태의 의미는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수성구의 CI는 전체적으로 기와집과 같은 주거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고 수성구의 ‘ㅅ’자를 형상화 하였습니다. 노란색은 젊음과 교육의 도시, 파란색은 쾌적한 환경과 삶의 질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합니다. 디자이너로써 개인적으로 궁굼한 부분은 기와부분에서 두개의 타원이 겹치는 부분의 색상입니다. 디테일하게 의미를 가지진 않았어도 각각의 색상을 선택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합니다. 이 부분은 남구도 마찬가지입니다. 남구의 CI의 형태는 ‘ㄴ’과 ‘ㄱ’을 활용하여 춤추는 사람을 형상화 하였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각진 ‘ㄴ’과 ‘ㄱ’을 완전히 상반된 이미지의 곡선형태로 표현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달서구는 한글 자음인 ‘서’자를 형상화하였습니다. 처음엔 산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달서구의 2대 생활권 (성서, 원배권)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바깥쪽 타원은 달을 형상화하였다고 합니다.

 

추상적

중구와 서구의 CI는 다른 지역들보다 다소 추상적입니다. 중구의 CI는 전체적으로 대구의 지역형태를 나타내며 해당 지역구인 중구를 중앙에 흰색으로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지도상 대구의 행정구역도와 비교하였을 때 직관적으로 같은 모습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저런 형태로 발전시킨 과정이 궁굼한 점은 있습니다. 대구의 지역구는 총 8개입니다. 중구의 CI에서 굴곡진 부분을 각각의 지역구라는 의미를 부여했다고 가정했을 때, 저에게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중앙 흰색이 아닌 상단의 주황색부분입니다. 서구의 CI도 어렵습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날뫼북춤의 춤사위’를 형상화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 색상별 의미를 부여하였습니다.

CI를 분석할 때 먼저 해설을 보지 않고 디자이너나 CI 개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처음엔 일반인의 시각으로 빠르게 확인하고, 그 다음엔 디자이너의 시각으로 좀 더 디테일한 부분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해석과 비교하며 제 생각과 일치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면 대구광역시의 CI에서 일반인은 산이 보이고 CI개발자라면 ‘팔공산’이 보일 것입니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중구와 서구의 CI와 같은 형태의 추상적 표현방법입니다. 아직도 많이 배우는 중입니다.

댓글